새소식

AWS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 -

AWS(Amazon Web Service)

💡서버,네트워크 등 인프라 전체를 대여해 주는 서비스

AWS는 여러 사업자에게 각각 빌려야했던 인프라를 일괄로 빌릴 수 있고, 웹서버,데이터 베이스 서버 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까지 통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EC2(Clastic Compute Cloud)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AWS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의 컴퓨터를 한대 빌리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EC2인스턴스 생성의 의미

AWS EC2인스턴스를 생성한다는 것은 AMI를 토대로 운영체제,CPU,RAM혹은 런타임등이 구성된 컴퓨터를 빌리는 것입니다

 

 

그럼 여기서 AMI란 무엇일까?

AMI(Amazon Machine Image)

💡인스턴스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로,

즉 EC2 인스턴스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모은 단위로 OS,아키텍쳐 타입,저장공간 용량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EC2 시작하기

먼저 AWS에 회원가입을 해주어야하는데 회원가입을 하면 1년간 프리티어 요금제로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에 완료하였다면 서비스 지역을 꼭 대한민국 서울로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몇 분 만에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세요.

aws.amazon.com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

인스턴스의 이름과 유형 선택

 

저는 우분투에서 프리티어 사용이 가능한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였습니다

 

 

 

키 페어 생성

 

키 페어는 인스턴스의 고유 보안 인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꼭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함)

 

기존에 생성한 키 페어가 있다면 선택해주면 되고 키 페어가 없을 경우 새 키 페어를 생성해준 후 선택하면 됩니다

새 키 페어를 생성하는 경우 다운로드 되는 프라이빗 키 파일은 다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꼭 안전하게 보안된 위치에 저장해둬야합니다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보안 규칙에가서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해줍니다

 

스토리지 구성

프리티어는 최대 30GiB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이후로는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인스턴스 시작

이후 다른 세부 설정들은 기본 값으로 두고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성공적으로 인스턴스가 시작됩니다

 

 

SSH 접속

이후 ssh명령어로 접속하면 끝!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