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Git

[Git] 깃&깃허브 기본 개념

  • -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되는 공유하기 위한 장소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저장소

 

Git

Local
unstagedstaged가 있음

unstaged에 있는 파일을 staged에 add해야지만 깃허브에 올릴 준비 완료

(수정을 시켰을 시 다시 add 해야함)

unstaged staged
commit,push 불가능 commit,push 가능

 

여기서 add란

add

변경 내용을 staged에 올려달라는 의미

  • git add 파일명
  • git add .
    : add와 .사이에 띄어쓰기 주의!

커밋(Commit)

커밋 종류

  1. git commit
  2. git commit -m"커밋 메시지"
    (cmd에서는 엔터가 먹히지않으므로 git commit -m"커밋메시지1" -m"커밋메시지2")
  3. gitmoji -c
// 커밋 상태를 보기 위함
$git status
// 여태 커밋 한 로그를 확인하기 위함
$git log : 여태 한 커밋 메시지를 볼 수 있음
// 변경사항 전 후를 보여줌
$git diff

 


깃허브

remote 

💡로컬에 깃허브 주소를 연동한다는 의미

즉 ,깃허브 주소를 저장하는 역할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 로컬과 깃허브 연결
    :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주소]
  • 로컬과 깃허브 연결 해제
    : git remote remove는 삭제

브랜치 바꾸기

main branch는 

git 에서는 master branch를 지원하고

git hub에서는 main branch를 지원

 

그래서 master를 main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주어야함

1)  git checkout -b main (main branch 생성)

2) git branch -d  master (master branch 삭제)

 

push

💡로컬에 있는 것을 깃허브에 올림

$git push origin main

 

정리하자면

1. 폴더 생성

2. git init (.git이라는 파일이 생성됨)

3. git add 

4. git commit

5. 로컬은 끝

 

로컬에서 깃허브로 보내는게 push , 깃허브에서 로컬로 받아오는게 pull

$git pull origin main

 

 

clone

💡깃허브의 특정 레포지토리를 로컬에 똑같이 복사( ctrl c v)

$git clone 레파지토리주소

fork

💡다른 사람의 레파지토리를 복사해서 내 레파지토리로 만드는 것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ignore 설정 방법  (0) 2023.12.07
[Git] 커밋 컨벤션 작성법  (0) 2023.08.19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