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과 github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할 땐 .gitignore파일을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자바 프로젝트를 할 때 .gitignore파일을 추가 안해서
불필요한 파일들이 계속 같이 올라가 매번 머지를 할 때마다 데이터 충돌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럼 도대체 gitignore가 뭘까요?
.gitignore
프로젝트에 원하지 않는 백업 파일이나 로그파일 혹은 컴파일 된 파일들을 Git에서 제외할 수 있는 설정 파일을 말합니다
- 데이터 충돌 등을 막아주는 역할
- 보안상으로 위험성이 있는 파일
- 프로젝트와 관계없는 파일용량이 너무 커서 제외해야되는 파일
ex) npm module,.class파일등 불필요한 파일 업로드, 접근
gitignore.io
gitignore.io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환경,언어등 키워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이렇게 만들어진 gitignore파일을 프로젝트 최상위 위치에 올려주면 됩니다
github에 이미 올라가 있는 파일에 적용하려면
깃허브에 올려놓은 파일들은 gitignore 적용이 되지 않는습니다.
그럴 때는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면 gitignore가 적용이 됩니다
$git rm -r --cached . (로컬에는 파일이 있지만, 원격 저장소에만 파일 삭제 )
$git add .
$git status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gitignore.io를 사용해도 되지만 .gitignore파일을 직접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부터는 gitignore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봅시다
.gitignore파일 규칙
표현 |
의미 |
#, 빈라인 |
# : 주석 . 빈라인 :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a |
확장자가 .a인 모든 파일을 무시합니다 |
folder_name/ |
해당 폴더의 모든 파일을 무시합니다 |
folder_name/*.a |
해당 폴더의 확장자가 .a인 모든 파일을 무시합니다 |
/*.a |
현재 폴더의 확장자가 .a인 모든 파일을 무시합니 |
|
|